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로나19
- 경제위기
- WTI유
- 중국경제
- DSP
- 주식투자
- 주가분석
- FOMC
- 제다큐어
- 엘론 머스크
- 반려견치매
- 머신러닝
- 유상증자
- 테슬라
- 퀀트
- 지엔티파마
- 중국증시
- 금리인상
- 국제유가
- 아모레퍼시픽
- 스크리닝
- WTI
- 뉴지스탁
- prometheus
- 기업분석
- 뇌졸중
- 마법공식
- 미국금리
- Python
- 넬로넴다즈
- Today
- 20
- Total
- 456,173
목록Investment/기업분석 (42)
Data Analysis for Investment & Control
확실히 세상이 변했다 싶은게, 예전에는 직접 여기저기 사이트나 뉴스 기사를 검색해 가며 힘들게 모아야 했던 투자를 위한 기업분석을 요즘에는 유튜브를 통해 많이 접할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생각해 보면 굉장이 편하기도 하지만 그만큼 정보의 격차를 줄이는 효과 때문에 좋은 기업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지게 되는 것 같기도 하다. 슈뢰딩거도 그런 종목 중 하나인데, 유튜브를 보다가 제2의 테슬라라는 수식어로 소개해 놓은 제목을 보고 찾아보게 되었다. 그러면서 여러 분석글을 찾아보게 되었는데, 직접 분석하기 보다는 잘 정리된 글을 찾아보는 것이 나을 것 같아 아래 링크를 걸어둔다. https://blog.naver.com/wjsmug/222025189560 슈뢰딩거 (SDGR) 주식 분석 (비..

글쓴이는 2018년부터 지엔티파마의 투자자(주주)로써 보다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회사의 성장 가능성과 혹시 모를 리스크를 파악하여 성공적인 투자를 하기 위해 본 글을 작성하는 것임을 밝힙니다. 오랜만에 지엔티파마 관련 글을 포스팅하려 한다. 작년 주총 참석 이후로 임상 진행 및 본격적인 영업활동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되어 그간 신경을 안쓰다가 올해 주주총회에도 참석을 못했는데, 최근 업데이트되는 상황을 보면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우선 회사 홈페이지에 공시한 내용부터 보도록 하자.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신약개발 주요사항 보고 코로나 사태가 지속되면서 2020년3월 30일에 개최되었던 지엔티파마 제22기 정기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못하신 주주 여러분께 당사 홈페이지를 통해 인사를 드립니..

포스팅은 좀 늦었으나 지난 3월 28일에 있었던 지엔티파마의 주주총회에 다녀온 소감을 적어보고자 한다. 회사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라며, 주주총회에 있었던 새로운 소식을 중심으로 적어보도록 하겠다. 우선 파이프라인에 대한 약 이름이 WHO의 권고로 새롭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Neu2000 → Nelonemdaz : 뇌줄중, 심정지에 대한 한국과 중국 임상 2상 중인 약물 AAD-2004 → Crisdesalazine : 퇴행성 뇌질환, 우울증에 대한 신약, 루게릭병 임상 2상 진행 예정. 반려견 치매를 대상으로 임상진행 및 동물의약품 시장 진입 예정 Flusalazine : 염증성 질환 및 통증에 작용하는 mPGES-1 억제제 임상 진행 현황 Nelonemd..
이 포스팅은 지엔티파마 관련 소식이 들려올 때 마다 업데이트 될 수 있음을 밝힙니다. latest update at 2019/04/02 1. 설립배경 곽병주 대표이사 지엔티파마는 1998년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던 8명의 교수들이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 설립하였다. 미국 드렉셀 의과대학 신경과학 박사 출신으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던 곽병주 대표이사를 주축으로 뇌졸중 및 뇌척수손상, 퇴행성뇌질환, 통증 환자를 위한 치료제 및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주력제품 2.1 파이프라인 회사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파이프라인 소개는 다음과 같다. 크게 3가지의 카테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적용기전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파생되어진다(예를들어, Neu2000은 NEU2000KWL라는 이름으로..
어제 엘론 머스크의 SEC로 부터의 피소에 대한 블로그 포스팅에서 이제 협상에 실패 했으니 법정에서의 장기적인 싸움이 있을 거라 예측했었다. [Investment/Tesla] - SEC로 부터 소송을 당하게 된 엘론 머스크, 다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하지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테슬라와 엘론 머스크는 SEC와 합의를 한 모양이다. 합의에 대한 알려진 주요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엘론 머스크가 이사회 의장직에서 내려와야 하며, 3년 동안 재선출될 자격을 박탈한다. - 테슬라는 새로운 독립된 이사회 멤버를 임명해야한다. - 테슬라는 독립된 이사들로 구성된 새로운 위원회를 구성하고 엘론 머스크의 커뮤니케이션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해야 한다. - 테슬라와 엘론머스크가 각각 2천만 달러의 벌금..
이번 주... 미국 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는 엘론 머스트가 지난 달 비상장으로 전환하려 한다는 트윗이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며 사기혐의로 고소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美 증권거래위원회, 사기 혐의로 일론 머스크 고소 개인적으로 큰 이슈가 아니라고 판단해서 경고 정도의 주위만 주고 넘어갈 거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고소 뉴스가 나오기 전에 SEC와 엘론 머스크와의 합의를 위한 미팅에서 벌금과 함께 엘론 머스크가 회장직에서 2년 동안 내려와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협상이 부결되었는데, 이런 가혹한 조건을 내세운 것으로 보아 SEC는 엘론 머스크와 합의할 생각이 없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이제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우선 엘론 머스크는 SEC의 발표에 상당히 유감을 표명..
다음의 블로그를 참고하여 개인적으로 정리하였음을 밝힌다. 기술주에 관심이 있다면, 한번쯤은 볼만한 테크 관련 웹사이트 1. https://techcrunch.com/ 2. https://www.wired.com/ 3. https://www.cnet.com/ 4. https://www.theverge.com/ 5. https://mashable.com/
이 포스팅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는 글입니다. latest update at 2018.08.28 1. 바이오 산업 분류 바이오 쪽에 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관계로 산업에 대한 세부 분류가 적절하게 정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계속해서 관련 산업을 공부해보고 분류를 더 체계화 시키도록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 의약품- 면역치료- 유전자치료- 줄기세포- 진단- 뇌질환- 미용시술 ※ KRX를 통해 알 수 있는 '의약품 제조업',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 관련제품 제조업',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의료용 기기 제조업' 등 업종 분류에 따른 상장 기업만 해도 200여개 수준이며, 비상장 회사까지 더하면 훨씬 그 수가 더 많아질 것이다. 따라서 한꺼번에 모든 기업을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
이 포스팅은 안트로젠 관련 소식이 들려올 때 마다 업데이트 될 수 있음을 밝힙니다. latest update at 2018/09/09 1. 설립배경 이성구 안트로젠 대표 2000년 미국 보스톤에 설립된 연구소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골수줄기세포 및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제품화 연구를 시작하였고 2012년 1월 세계 최초로 지방줄기세포지료제 '큐피스템'을 상품화 하였다. 줄기세포치료제 연구개발의 오랜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함몰흉터치료제 '아디포셀', 피하지방결손치료제 '퀸셀', 크론성누공치료제 '큐피스템'을 개발하였다. 2. 주력제품 안트로젠은 의약품 개발 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원료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아마도 줄기세포를 통한 미용 쪽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일 것이다. ..
이 포스팅은 테고사이언스 관련 소식이 들려올 때 마다 업데이트 될 수 있음을 밝힙니다. latest update at 2018/08/27 1. 설립배경 테고사이언스 전세화 대표이사 2001년 현 CEO인 전세화 대표 체제로 세워진 테고사이언스는 2002년 자기유래 배양피부인 홀로덤의 판매 허가를 시작으로 2005년에는 동종유래피부인 칼로덤의 판매 허가를 획득함으로써 세포치료제 시장의 선두주자가 되었다. 전세화 대표이사는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유학길에 올라 1995년 미국 위스콘신 의대에서 종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피부세포치료제의 세계적 권위자인 하버드 의대의 하워드 그린 박사 연구실에서 5년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당시 세포생물학 연구와 배양피부의 제품화 과정에 참여하면서 첨단 세포치료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