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반려견치매
- Python
- 제다큐어
- WTI
- 금리인상
- 유상증자
- 중국경제
- 머신러닝
- 뉴지스탁
- DSP
- 주식투자
- 엘론 머스크
- 마법공식
- 코로나19
- 지엔티파마
- 주가분석
- 국제유가
- 테슬라
- 미국금리
- 퀀트
- 중국증시
- WTI유
- prometheus
- 넬로넴다즈
- 스크리닝
- 경제위기
- 뇌졸중
- 기업분석
- FOMC
- 아모레퍼시픽
- Today
- Total
목록2016/01 (4)
Data Analysis for Investment & Control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특정 설정값을 저장시켜야 할 때가 있는데 C++에서는 *.ini 파일에 Window API 함수를 이용해서 기록하거나, 따로 txt 파일을 생성하여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xml을 핸들링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저장하기도 하는데, C#에서는 System.Configuration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파일은 *.config의 확장자를 가지고 xml 포맷으로 저장이 되는데, 간단히 사용법을 정리해 본다. 사용하고자 하는 c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참조 추가를 한다. using System.Configuration; 솔루션 탐색기에서도 참조 트리에서 [마우스 우클릭] - [참조 추가] - [.NET] 탭 - [System.Configuration] 선택 후, 확인..
프로그램을 구현하다보면, 각종 설정파일이나 dll 파일들의 프로젝트의 기본출력 경로인 실행파일 폴더에 같이 놓아야 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이 경우 해당 경로를 얻어와야 하는 일이 가끔 생기고는 하는데, 이를 얻어오는 함수를 정리하고자 한다. ATL의 CString 클래스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현한다. CString get_exe_path() { CString strPath; GetModuleFileName(NULL, strPath.GetBuffer(MAX_PATH), MAX_PATH); strPath.ReleaseBuffer(); return strPath.Left(strPath.ReverseFind('\\' )+1); } 물론 CString 대신에 char 배열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C#에서는 Sytem.IO의 Directory 클래스를 이용해 특정 경로 내의 파일 리스트를 쉽게 얻어 올 수 있다. 하지만, C++에서는 어떻게 얻어올까 구글링을 하다가 dirent.h를 활용하는 방법 등 몇 가지 코드를 찾을 수가 있었는데, 그 중 가장 직관적인 방법을 정리하도록 한다. 함수를 사용하려면 다음을 추가한다. #include #include #include [Header] typedef std::wstring str_t; vector get_files_in_folder(str_t folder, str_t file_type = L "*.*"); [Source] vector get_files_in_folder(str_t folder, str_t file_type) { vector names;..
argmin과 argmax는 논문을 읽다보면 간혹 수식에 등장하는데, 처음 봤을 때는 무슨소린가 했다. argmin argmin의 수식은 아래와 같다. 의미는 함수 f(x)를 최소 값으로 만들기 위한 x 값을 구한다.. 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는 것은 당연하게도 함수 f(x)가 무엇이냐에 따라 x값이 달라지게 된다. 만족하는 값이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면, f(x)의 최소값은 -1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x 값은 ..., pi, 3pi, 5pi, ... 이다. 이처럼, 수식을 통해 한번에 구해지는 연산이 아닌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파라미터를 찾는 함수이므로 argmin은 indirect한 함수라고 볼 수 있다. argmax argmin을 이해했다면 argmax도 당연히 이해가 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