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lysis for Investment & Control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2) - 해외 로봇산업 동향 본문

Robotics

지능형 로봇 기본 계획(2) - 해외 로봇산업 동향

아슈람 2009. 6. 21. 23:59
반응형


1.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시장 현황

2007년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18.9% 성장한 81.26억불로 추산(국제로봇연맹[IFR], '08.10)

제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58.9억불로 추산, 최근 3년간 대체로 점진적 증가세를 유지

서비스용 로봇은 22.32억불로 추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전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연평균 59.3%의 고성장세
->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06년 전년대비 △15.0%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07년 전년대비 81.3%의 높은 성장세를 회복



제조용 로봇의 경우 세계시장 점유현황은 일본이 26.6%로 1위, 미국 21.0%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는 5.7%로 5위권





세계 로봇시장은 ‘13년 300억불 규모를 형성, 본격적인 시장성장 단계에 진입한 이후 ’18년에 약 1,000억불 시장 형성 전망

이미 초기시장 성장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받는 제조업용 로봇의 경우 연평균 12% 수준의 꾸준한 성장 기대
-> 2012년 75.5억불(후지경제연구소) ~ ’15년 260억불(한림공학원)규모의 시장 등

서비스용 로봇의 경우, 초기단계로 새로운 제품이 꾸준히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미래 전망이 쉽지 않으나, 높은 성장세 예측에 일치
-> 전문서비스용 로봇은 로봇기술 응용분야 확산으로 인해 큰 폭의 시장 확대 예상
-> 개인서비스용은 기술적 난제 해결에 따른 제품완성도 확보를 계기로 2013~2016년경부터 고성장 전망
-> 2005년까지의 청소‧교육‧오락용 로봇의 출하대수 기준 로봇시장이 5년에 10배 이상 성장하여 반도체산업의 무어의 법칙을 상회(Pirjanian, CEO of ER, RoboBusiness, ’07)

로봇시장 규모에 RT와 타산업의 융합으로 신규 발생하는 로봇융합 산업을 추가할 경우 로봇자체 시장 대비 2~3배의 시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




2. 주요국 동향

미국 - 세계최고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특수목적용 로봇 선도개발


(정책) 국방부와 NSF(미과학재단) 주도로 전문서비스 로봇 개발 집중

미국은 ’95년 산․학․연․관으로 구성된 로봇산업협력위원회(RIMCC)를 구성, 본격 지원 착수

NSF가 로봇분야 국가 R&D 정책 총괄기능을 수행하며, 국방부 산하 DARPA는 약 18조 규모의 ‘미래형전투시스템’ 추진 중(2000~2012)

서비스로봇 분야에서 EU, 일본에 비해 다소 열세임을 인식, 경쟁력 확보계획 수립 중(CCC)와 NSF가 ’08.1월 서비스로봇 로드맵 작성 착수)


(기술) 최고의 원천기술력 보유, 최근 로봇 응용기술개발 강화 추세

국방로봇 분야 최고 리더십 보유, 우주탐사, 의료 및 재활 등 전문 서비스용 로봇분야 기술개발 집중
-> 국가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과 공동으로 극복기술을 개발, 민간부문으로 기술 확산

인공지능, 이동, 센서/센싱 원천 기술 분야의 강점을 바탕으로 강인한 지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S/W 개발에 집중

(산업) 서비스로봇 분야에서 기술력․상품기획․마케팅 능력을 앞세운 전문기업들의 대약진

iRobot사는 정찰로봇 Packbot(1998년 개발착수)의 전세계 공급 2,000대 판매(2008.10월 기준), 청소로봇 Roomba(’02.9월 출시)를 300만대 돌파

Intuitive Surgical사는 다빈치시스템의 판매를 통해 수술로봇시장 선도(2007년 6.01억불, 2008년 3Q까지 6.43억불 매출)

MS사는 레고사의 ‘마인드스톰’에 로봇SW 플랫폼 MSRDS를 탑재, 세계시장 마케팅 활동 전개



일본 - 정부의 육성정책지원과 서비스로봇에 대한 대기업의 추진력


(정책) 일본은 경제산업성에서 로봇산업정책 전반을 관장하고 있으며 각 부처별로 응용분야 특성에 맞는 사업을 지원

경산성은 1983년 극한작업용 로봇 개발 착수이후, 공통기반, 요소 부품, 실용화 개발을 총괄하는 차세대 로봇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국가 로봇 산업 육성을 주도
-> 정부가 70년대부터 산업용로봇 육성을 위해 정책지원, 2025년까지의 시장, 비즈니스, 기술개발분야 로봇기술전략맵 수립(경제산업성, 2007년)

총무성에서는 네트워크 로봇, 소방청은 소방‧방재 로봇, 국토교통성 에서는 토목 작업 및 건설 로봇 등의 부처별 응용개발 지원


(기술) 산업용로봇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서비스로봇 기술을 주도

엑추에이터와 센서/센싱 등 부품분야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머 노이드 등 보행 로봇기술개발에 집중
-> Honda, Toyota, Fujitsu 등 대기업과 AIST, 동경대, 와세다대 등에서 폭넓은 연구진행

핵심공통기반기술(S/W, H/W의 요소기술)의 고도화 및 인간과의 접촉도, 시장규모를 고려한 차세대 로봇시스템의 연구개발에 집중
-> 정교하고 섬세한 국민성, 한 분야에 몰두하는 ‘오타쿠’ 정신, 다신교에 근거한 상상력 등 특유의 문화는 일본 로봇발전의 원동력


(산업) 대기업 중심으로 개인서비스 로봇의 시장가능성 타진 중

Intelligent System사는 2001년 AIST에서 개발된 물개모양의 심리 치료로봇 PARO를 '04년부터 상용화
-> 2007년 현재 일본에서만 1,300여대가 판매, 세계적으로 매출 증가 추세

Toyota사는 Sony의 로봇 개발 부분을 인수, 독자적으로 추진해 온 로봇개발에 접목, 생활지원서비스로봇 산업에 진출(2007.9)
-> 가사보조, 간병용 생활지원로봇을 ’10년대 초반에 상용화 계획 발표



EU - 회원국간 협업을 바탕으로 로봇 요소기술 개발에 집중


(정책) ‘00년부터 EU차원의 프레임워크 프로그램(FP)과 각 국별 연구프로그램을 통해 지원 중(제7차 FP :2007~2009년까지 372M€ 투자 계획)


FP의 로봇연구부문은 제조로봇의 경쟁력 강화와 기초기술력 확보에 바탕을 둔 인지시스템, HRI 등 로봇 S/W 기술에 집중 지원
-> 전략적 로봇 연구 분야 로드맵 발표(2007.5월)를 통해 첨단생산시스템, 가사 로봇, 네트워크로봇, 실외로봇, 건강의료로봇 등 5개 핵심 분야 선정

독일의 경우 'IKT2020'을 통해 로봇 S/W 및 제조로봇을 지원중 이며 이탈리아는 NRP의 핵심기술로 로봇을 지원


(기술) 서비스로봇 연구 활동이 일본, 한국에 비해 낮으나 제어, 머니퓰레이터 등 요소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동 분야 연구 확대

고령화시대에 대비,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실버․복지로봇 연구와 주행원천기술개발 활발히 진행
-> 이탈리아는 재활/의료로봇기술, 프랑스는 로보틱 트랜스포트 기술개발 진행

머니퓰레이터, 핸드제어기술에 강점이 있고, 인지, HRI 기술에 집중 하고 있으나, 휴머노이드 연구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

(산업) 제조용 로봇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청소, 물류 등 전문서비스 로봇 중심의 시장 타진

EU는 로봇사용 및 설치대수에서 세계 2위의 로봇강국7)으로 KUKA (독일), ABB(스웨덴) 등 글로벌 기업이 로봇산업 주도

뛰어난 제조용 로봇 기술력을 보유한 지멘스(독일), 일렉트로룩스(스웨덴) 등 대기업이 서비스로봇 개발을 주도



기타 - 중국, 대만, UAE 등도 로봇을 국가적 Agenda로 채택


(중국) 중장기기술개발프로그램(2006~2020, 2006.2월 발표)을 통해 로봇을 포함한 첨단신산업 육성을 위한 R&D 청사진 마련

로봇을 첨단제조기술 분야로 분류하고, 5년간(2006~2010) 휴머노이드 로봇, 노인/장애자 지원․구조 로봇 등을 개발할 계획

아울러 우주개발, 극지개발, 해양탐사 등에 투입할 전문서비스용 로봇 개발을 활발히 추진


(대만) 제조업용 로봇 시장규모를 10배 이상 육성할 계획
-> 대만 국내시장규모 : 6.1억불(2007년) → 77억불(2015년)

(UAE) 휴머노이드 로봇개발(REEM-B, 스페인에 위탁개발), 로봇조정 낙타경주대회, 국제로봇올림피아드 개최 등 다양한 로봇사업 추진 중
->로봇쥬라기공원(Restless Planet) 개장 예정(2008년 말, 11억불 규모, 109대의 로봇 공룡 설치, 46,000㎡의 돔형




참고자료
제1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내용이 마음에 드셨나요? 그럼, 아래 추천하기를 눌러주세요!! ^^





 

반응형
Comments